서울 동작구갑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선거구로, 노량진제1동, 노량진제2동, 상도제2동, 상도제3동, 상도제4동, 대방동, 신대방제1동, 신대방제2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노량진 고시촌이 해당 선거구에 위치해 있으며, 김영삼 전 대통령의 정치적 기반이었던 곳인 상도동이 포함되어 있기도 합니다. 동작구갑 지역구는 최근 5번의 선거에서 모두 민주당계 후보자가 당선된 곳으로, 진보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분류됩니다.
이번 선거에서는 세 명의 후보자가 출마했습니다:
국가안전기획부(현 국가정보원)에 채용되어 오랜 기간 근무하며 국가정보원 인사처장까지 지냈으며, 2016년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하였습니다. 동작구갑 지역구에서 제20대, 제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으며, 3선에 도전하며 출마하게 되었습니다.
변호사 출신의 정치인으로, 신용카드나 스마트폰 등의 소비자들과 관련된,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소송들을 맡아 승소해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소속으로 동작구을 지역구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고, 이후 국민의힘에 입당하여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동작구갑 지역구로 출마한 적이 있습니다. 여담이지만, 예능 프로그램 무한도전의 유명한 에피소드인 '죄와 길' 편에 나온 그 변호사가 맞습니다.
제17대, 제18대, 제19대 국회의원(동작구갑)이었으며, 더불어민주당의 공천 결과에 불복하며 탈당하여 출마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김병기 후보가 국민의힘 장진영 후보를 상대로 승리하였습니다. 이는 지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와 비교했을 때, 더불어민주당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제21대 선거에서는 김병기 후보가 55.2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당시 미래통합당 장진영 후보는 42.89%의 득표율을 기록했습니다. 득표율 차이는 다소 줄어들었습니다만, 이는 민주당계 정당에서 3선 의원을 역임한 전병헌 후보의 출마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개표단위별 결과는 나름대로 엎치락뒤치락하는 양상이었지만, 김병기 후보가 앞서는 개표단위가 더 많았을 뿐더러 관외사전투표에서 3,000표 이상의 큰 득표수 차이가 났기 때문에 김병기 후보가 당선될 수 있었습니다.
읍면동명 |
선거인수 |
투표수 |
후보자별 득표수 | 무효 투표수 |
기권자수 |
|||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
국민의힘 장진영 |
새로운미래 전병헌 |
계 | |||||
합계 | 180,193 | 127,106 | 63,372 | 56,498 | 5,626 | 125,496 | 1,610 | 53,087 |
거소·선상투표 | 204 | 190 | 88 | 81 | 13 | 182 | 8 | 14 |
관외사전투표 | 16,986 | 16,977 | 9,980 | 6,061 | 727 | 16,768 | 209 | 9 |
국외부재자투표 | 777 | 568 | 385 | 161 | 19 | 565 | 3 | 209 |
노량진제1동 | 24,603 | 16,111 | 7,141 | 8,040 | 702 | 15,883 | 228 | 8,492 |
노량진제2동 | 10,662 | 7,295 | 3,559 | 3,276 | 348 | 7,183 | 112 | 3,367 |
상도제2동 | 20,809 | 14,484 | 6,643 | 7,163 | 524 | 14,330 | 154 | 6,325 |
상도제3동 | 22,553 | 15,624 | 8,149 | 6,514 | 783 | 15,446 | 178 | 6,929 |
상도제4동 | 21,389 | 13,194 | 6,717 | 5,671 | 632 | 13,020 | 174 | 8,195 |
대방동 | 25,956 | 17,396 | 8,430 | 7,952 | 790 | 17,172 | 224 | 8,560 |
신대방제1동 | 18,000 | 12,405 | 5,797 | 5,955 | 494 | 12,246 | 159 | 5,595 |
신대방제2동 | 18,254 | 12,857 | 6,480 | 5,622 | 594 | 12,696 | 161 | 5,397 |
잘못 투입·구분된 투표지 |
0 | 5 | 3 | 2 | 0 | 5 | 0 | -5 |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후보는 3선에 성공하며 어느덧 중진 의원의 반열에 들어섰습니다. 어느 정도 표가 분산되었다고 볼 수도 있는 상황에서도 5%P의 득표율 차이를 기록하며 당선에 성공하였습니다.
국민의힘 장진영 후보는 비록 당선에는 실패하였으나, 동작구갑 지역구에서 보수정당 후보자로서 최초로 45%의 득표율을 기록하였고, 모든 개표단위에서 패배한 지난 선거와는 달리 무려 3개 단위에서 승리하는 등 선전하였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후보의 의정 활동과 국민의힘의 전략 재정비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역 내 정책과 공약을 충실히 이행하며, 주민들과의 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지역 내 지지층을 확장하고, 주민들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정책을 개발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번 선거는 동작구갑의 정치적 균형을 재조정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향후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관악구갑 선거 결과 살펴보기 (1) | 2024.06.05 |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동작구을 선거 결과 살펴보기 (0) | 2024.06.05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영등포구을 선거 결과 살펴보기 (0) | 2024.05.30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영등포구갑 선거 결과 살펴보기 (0) | 2024.05.30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금천구 선거 결과 살펴보기 (0) | 2024.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