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영등포구갑은 영등포구의 중심 지역으로, 영등포본동, 영등포동, 당산제1동, 당산제2동, 도림동, 문래동, 양평제1동, 양평제2동, 신길제3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지역구는 문래동과 같은 상업 지구와 당산동, 신길동 등의 주거 지구가 혼합되어 있으며, 보수정당과 진보정당이 각축을 벌이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이번 선거에서는 세 명의 주요 후보자가 출마했습니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후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정치에 입문하였습니다. 서울특별시장 정무보좌관과 대통령비서실 행정관을 역임하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영등포구청장에 당선되었습니다. 영등포구청장 재선을 노렸으나 낙선하였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영등포구갑 지역구에 출마하게 되었습니다.
농구선수였으며, 노동운동가로 활동하다 정치에 입문하였습니다. 제19대에서부터 제21대까지 영등포구갑에서 국회의원을 역임하였으며, 문재인 정부에서 고용노동부 장관을, 제21대 국회 후반기에는 국회부의장을 역임하기도 하였습니다. 민주당계 정당에서 20년 이상 활동하였으나 국민의힘으로 소속을 옮겨 출마하게 되었습니다.
승무원 출신의 정치인으로 제21대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역임하였습니다.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을 지내기도 하였으나, 탈당하고 개혁신당에 합류하여 출마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채현일 후보가 국민의힘 김영주 후보를 상대로 승리하고 국회 입성에 성공하였습니다. 당적까지 바꿔서 출마한 김영주 후보였지만, 12.86%P의 큰 득표율 차이로 낙선하게 되었습니다. 개혁신당의 허은아 후보는 예상보다는 저조한 5,084표를 득표하는데 그쳤습니다.
채현일 후보가 모든 개표단위에서 앞서며 당선에 성공하였습니다. 김영주 후보는 당산제2동에서 그나마 선방하였을 뿐입니다.
읍면동명 |
선거인수 |
투표수 |
후보자별 득표수 | 무효 투표수 |
기권자수 |
|||
더불어민주당 채현일 |
국민의힘 김영주 |
개혁신당 허은아 |
계 | |||||
합계 | 193,458 | 135,823 | 73,163 | 55,913 | 5,084 | 134,160 | 1,663 | 57,635 |
거소·선상투표 | 184 | 176 | 87 | 68 | 11 | 166 | 10 | 8 |
관외사전투표 | 17,553 | 17,537 | 10,673 | 5,885 | 764 | 17,322 | 215 | 16 |
국외부재자투표 | 832 | 593 | 409 | 161 | 21 | 591 | 2 | 239 |
영등포본동 | 17,389 | 11,961 | 6,410 | 5,085 | 335 | 11,830 | 131 | 5,428 |
영등포동 | 24,176 | 13,375 | 6,960 | 5,616 | 561 | 13,137 | 238 | 10,801 |
당산제1동 | 19,615 | 13,902 | 7,448 | 5,729 | 565 | 13,742 | 160 | 5,713 |
당산제2동 | 28,432 | 19,578 | 9,488 | 9,022 | 826 | 19,336 | 242 | 8,854 |
도림동 | 14,613 | 9,386 | 5,153 | 3,835 | 293 | 9,281 | 105 | 5,227 |
문래동 | 24,889 | 18,274 | 9,765 | 7,705 | 642 | 18,112 | 162 | 6,615 |
양평제1동 | 15,432 | 10,540 | 5,896 | 4,042 | 459 | 10,397 | 143 | 4,892 |
양평제2동 | 18,005 | 12,364 | 6,778 | 5,046 | 390 | 12,214 | 150 | 5,641 |
신길제3동 | 12,338 | 8,132 | 4,094 | 3,716 | 217 | 8,027 | 105 | 4,206 |
이번 영등포구갑 선거는 조금 특이한 선거였습니다. 해당 지역구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3선을 역임한 현역 의원이 상대 당에 입당하여 출마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더불어민주당의 강세는 계속되었으며, 이로써 영등포구갑에서는 민주당계 정당 후보자가 4번 연속 당선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더불어민주당 채현일 후보의 의정 활동과 국민의힘의 전략 재정비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역 내 정책과 공약을 충실히 이행하며, 주민들과의 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지역 내 지지층을 확장하고, 주민들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정책을 개발하여야 할 것입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동작구갑 선거 결과 살펴보기 (1) | 2024.05.31 |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영등포구을 선거 결과 살펴보기 (0) | 2024.05.30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금천구 선거 결과 살펴보기 (0) | 2024.05.29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구로구을 선거 결과 살펴보기 (0) | 2024.05.29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구로구갑 선거 결과 살펴보기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