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성북구을 선거 결과 살펴보기
무슨닉네임사용해야할지아직모르겠음
2024. 4. 29. 09:56

서울 성북구을은 서울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진보정당 계열이 강세를 보이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북구을은 교육 및 문화의 중심지로서 다수의 대학과 연구기관이 밀집해 있으며, 전통적으로 강한 교육열과 정치적 관심이 특징입니다.
후보자 소개
-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1963년생, 변호사이자 '참여연대'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에서 활동한 시민활동가이기도 합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겸임교수를 역임했습니다. 2024년에 더불어민주당에 영입되었고, 현 지역구 재선 의원인 기동민 의원을 밀어내고 성북구을 지역에 전략공천되었습니다.
- 국민의힘 이상규: 1976년생, 외식업, 출판업 사업가이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객원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한국청년임대주택협회의 회장과 국민의힘 격차해소 특별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남근 후보와 마찬가지로 2023년에 영입된 정치 신인입니다.
선거결과 분석
두 명의 정치 신인이 맞붙은 이번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김남근 후보는 68,872(56.82%)표를 획득해 국민의힘의 이상규 후보가 받은 52,328표(43.17%)를 앞섰습니다. 지난 선거와 비교하면 더불어민주당의 득표율이 다소 감소했으나 여전히 선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개표단위별 개표결과
진보정당 계열이 강세를 보이는 지역인 만큼 거의 모든 개표단위에서 더불어민주당의 김남근 후보가 앞섰습니다. 특히, 관외사전투표와 월곡제1동에서의 차이가 컸습니다. 그러나 돈암제1동, 장위제2동 등에서 국민의힘 이상규 후보가 지난 선거에 비해 득표수 차이를 상당히 좁혔습니다.
읍면동명 |
선거인수 |
투표수 |
후보자별 득표수 | 무효 투표수 |
기권자수 |
||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
국민의힘 이상규 |
계 | |||||
합계 | 178,667 | 123,239 | 68,872 | 52,328 | 121,200 | 2,039 | 55,428 |
거소·선상투표 | 203 | 199 | 86 | 107 | 193 | 6 | 4 |
관외사전투표 | 15,545 | 15,539 | 9,922 | 5,390 | 15,312 | 227 | 6 |
국외부재자투표 | 653 | 464 | 361 | 100 | 461 | 3 | 189 |
돈암제1동 | 11,071 | 7,631 | 3,989 | 3,537 | 7,526 | 105 | 3,440 |
길음제2동 | 16,122 | 11,126 | 5,852 | 5,103 | 10,955 | 171 | 4,996 |
종암동 | 30,260 | 20,682 | 11,540 | 8,793 | 20,333 | 349 | 9,578 |
월곡제1동 | 20,177 | 13,724 | 8,114 | 5,342 | 13,456 | 268 | 6,453 |
월곡제2동 | 15,944 | 10,495 | 5,881 | 4,439 | 10,320 | 175 | 5,449 |
장위제1동 | 18,440 | 11,303 | 6,267 | 4,846 | 11,113 | 190 | 7,137 |
장위제2동 | 11,325 | 7,062 | 3,647 | 3,281 | 6,928 | 134 | 4,263 |
장위제3동 | 12,006 | 8,185 | 4,311 | 3,776 | 8,087 | 98 | 3,821 |
석관동 | 26,921 | 16,823 | 8,900 | 7,612 | 16,512 | 311 | 10,098 |
잘못 투입·구분된 투 표지 |
0 | 6 | 2 | 2 | 4 | 2 | -6 |
정치적 의미와 전망
성북구을 지역구의 이번 선거 결과는 기존의 정치적 경향을 유지하면서도, 일부 변화의 조짐을 보여줍니다. 더불어민주당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지만, 국민의힘 역시 상당한 표를 확보하며 경쟁력을 보였습니다. 이는 향후 성북구을 지역의 정치적 지형에 다양한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양당 모두에서 더욱 적극적인 지역구민과의 소통과 정책 개발이 요구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