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북구을은 서울 북부에 위치한 선거구로, 주거 밀집 지역과 소규모 상업지역이 혼재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강북구을은 전통적으로 진보계열 정당이 초강세를 드러내는 지역으로,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로 단 한번도 보수계열 정당 후보자가 당선된 적이 없습니다. 제20대, 제21대 선거에서는 박용진, 안홍렬의 양자구도로 선거가 진행되었으나 이번 선거에서는 새로운 인물들인 한민수, 박진웅 후보가 맞붙었습니다.
이번 선거에서 한민수 후보가 44,623표(52.94%)를 얻어 가장 많은 표를 획득했습니다. 박진웅 후보는 34,989표(41.51%)를, 이석현 후보는 4,672표(5.54%)를 받았습니다. 지난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강세를 보였던 흐름이 이번 선거에서도 이어졌지만, 30%에 가까운 득표율차를 보였던 지난 선거에 비해서 국민의힘 후보의 선전도 눈에 띄었습니다.
모든 개표단위에서 한민수 후보가 앞섰으며, 관외사전투표와 미아동 등에서의 격차가 컸습니다.
읍면동명 |
선거인수 |
투표수 |
후보자별 득표수 | 무효 투표수 |
기권자수 |
|||
더불어민주당 한민수 |
국민의힘 박진웅 |
새로운미래 이석현 |
계 | |||||
합계 | 128,295 | 85,587 | 44,623 | 34,989 | 4,672 | 84,284 | 1,303 | 42,708 |
거소·선상투표 | 166 | 150 | 69 | 53 | 15 | 137 | 13 | 16 |
관외사전투표 | 11,136 | 11,130 | 6,739 | 3,659 | 590 | 10,988 | 142 | 6 |
국외부재자투표 | 384 | 261 | 186 | 63 | 11 | 260 | 1 | 123 |
삼양동 | 18,213 | 11,020 | 5,743 | 4,539 | 569 | 10,851 | 169 | 7,193 |
미아동 | 18,783 | 11,746 | 6,235 | 4,693 | 619 | 11,547 | 199 | 7,037 |
송중동 | 22,476 | 13,453 | 6,641 | 5,848 | 746 | 13,235 | 218 | 9,023 |
송천동 | 20,778 | 12,721 | 6,349 | 5,446 | 700 | 12,495 | 226 | 8,057 |
삼각산동 | 23,008 | 16,377 | 8,370 | 6,825 | 996 | 16,191 | 186 | 6,631 |
번3동 | 13,351 | 8,729 | 4,291 | 3,863 | 426 | 8,580 | 149 | 4,622 |
잘못 투입·구분된 투표지 |
0 | 0 | 0 | 0 | 0 | 0 | 0 | 0 |
강북구을에서의 이번 선거 결과는 기존의 정치 지형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정치 세력의 등장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여전히 강세를 보였지만, 국민의힘의 박진웅 후보가 상당히 많은 표를 확보하며 향후 선거에서의 경쟁력을 예고했습니다. 앞으로 강북구을에서는 더욱 다양한 정치적 이슈와 도전이 예상됩니다.